연혁
경기도지속가능발전협의회가 걸어온 길
◎ 연혁
연도 | 연혁 |
---|---|
2020 |
• 경기도 지속가능발전 기본 조례 제정(경기도조례 제65087호, 2020. 3. 16 제정) 제19조(경기도지속가능발전협의회 설치 등) |
• 기후위기 경기비상 행동 선언 | |
• 경기도지속가능발전 기본조례 제정 | |
•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자전거 출·퇴근 챌린지 | |
• G-SDGs 연계한 12기 위원회 조직구성 | |
2019 |
• 경기도지속가능발전목표 공표 31개 시군공통지표 선정, 모니터링 |
• 경기도지속가능발전 기본조례안 추진 | |
• 지역에너지 우수사례 발표대회 최우수상 수상 | |
2018 |
• 경기도SDGs 지표작성 완성 |
• 4차 경기의제21 작성 추진 | |
• 제10회 경기지속가능발전대회 | |
• 제11회 마을만들기 전국대회 개최(마을만들기 경기네트워크) | |
• 경기도 SDGs 수립 민·관 거버넌스 포럼 | |
• 온실가스 저감 토론회 | |
• 20주년 기념식 ‘더나은미래 지속가능한 경기도’ | |
• 도민 에너지 프로슈머 양성 | |
2017 |
• 경기도 지속가능발전목표 작성 추진 |
• 제9회 경기지속가능발전대회 | |
• 적정기술협의회창립 | |
• 에너지 자립 민·관 네트워크 구축 | |
• 경기도지속가능발전협의회 명칭 변경 | |
• 2017 생태교통총회 참석 | |
• 9회 생태계서비스파트너십(ESP) 세계총회 참석 | |
2016 |
• 제2차 생물다양성 포럼 in 경기 개최 |
• SDGs 이행을 위한 공동목표 선정 (제8회 경기지속가능발전대회) | |
• 유엔 해비타트 3차 총회 참석 | |
2015 |
• 경기환경포럼 출범(9.15 남양주) |
• 제1회 적정기술 박람회, 그린맵 박람회 개최 (제7회 경기지속가능발전 대회) | |
• 전국지속가능발전대상 최우수상 수상 “조례제정을 통한 지역의 지속가능성 향상 프로젝트” | |
2014 |
• 우리동네 그린맵 한국유네스코 ESD 인증 (7.22) ※ ESD (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) |
• 태국 매솟 학교 운영 지원 사업 추진 | |
• 제6회 경기지속가능발전대회 개최 (적정기술활성 공론화) | |
2013 |
• 네트워크 협력 사업(DMZ, 시민햇빛발전 등) |
• 민관협력으로 조례 재정 추진 (경기도 지속가능발전조례, 유니버설디자인, 생물다양성 등) | |
• 다시쓰는 도레미(환경문화예술보급사업)를 통한 Upcycling 공론화 | |
2012 |
• 경기도기후변화교육센터 운영 |
• 리우+20 유엔지속가능발전회의(UNCSD) 참가 | |
• 초록마을대학 사업을 통한 도정참여 (경기도 31개 시군 지표로 정착) | |
2011 |
• 제3차 경기의제 의제21 변경 추진(13개 의제에서 5개 의제로 통합 추진) |
• 도민 참여 기후변화 운동(승용차 없는날 행사 진행) | |
2010 |
• 기후행동센터 설치 - 그린홈콜센터 및 그린캠퍼스협의회 운영 |
• 미래위원회(특별위원회) 운영 - ‘제3차「경기의제21」추진방향’제안 | |
• 세계그린맵운동 가입 - 제1회 우리동네 그린맵 모니터 양성 학교 개최 | |
• 경기도도시농업네트워크 발족 MOU 체결 | |
2009 |
• 제1회 지속가능발전경기대회 개최 |
• 매솟 학교세우기 캠페인 전개 | |
• 홍보정보화 사업 강화(메타블로그, 경기지역 메신저, 그린맵 등) | |
2008 |
• 환경교육기획사업을 기초의제 공모사업으로 변경 |
• 람사르 총회 관련 경기도와 공동 대응사업 | |
• 기후학교 개최, 기후보호 네트워크 결성 및 기후포럼 운영 | |
2007 |
• 조직체계 개편 : 분과위원회 해소와 의제별 실천위원회 체계구축, 양성평등 위원회와 정책위원회 신설, 교류협력위원회를 ‘기초의제협력위원회’로 변경, 국제사업을 활성화 하기 위한 비공식 기구인 국제사업위원회 신설 |
• 생태발자국 등의 국제적 이슈 대응 사업 본격화 | |
• 지방의제21 전국대회 유치/주관 | |
2006 |
• ICLEI 세계총회 참석 |
• 기후변화협약 관련 활동 본격화 | |
• 회칙개정 : 위원수 150명에서 300명으로 확대 등 | |
2005 |
• 의제 재작성(농업, 지속가능한 소비와 생산, 에너지, 사회복지, 문화) |
• 환경교육 기획사업 실시 | |
• 친환경 마을만들기 사업 실시 | |
• 환경교육 포럼 실시 | |
2004 |
• 의제 재작성(산림 및 녹지, 습지, 하천 , 폐기물, 도시계획, 주민자치, 성평등, 보육) |
• 도시대학 실시 | |
• 환경교육 한마당 실시 | |
• 경기지속가능발전위원회 구성 | |
2003 |
• 경기정책포럼을 통한 현안 대응 활성화 |
• 기초의제협의회 ▶ 교류협력위원회로 변경 | |
• 분과위원회의 의제실천사업 활성화 | |
2002 |
• 2월 홈페이지 개설 |
• 회칙개정 : 사회정책 전반이 활동 영역임을 선언, 여성분과 신설, ‘교류 협력분과’를‘기초의제협의회로 변경 등 |
|
• 의제지표 평가사업 실시 | |
• WSSD(지속가능발전 세계 정상회의 참가) | |
2001 |
• 회칙개정 : 교류협력분과 신설 및“푸른경기21”의 실천사업 추진 및 평가“ 조항 삽입, 위원수 150명으로 확대, 사무처로 승격 |
• 푸른경기21 중장기계획 기획사업 추진 | |
• 10.12~13 어울한마당 최초로 개최 | |
2000 |
• 교류협력특별위원회 구성 |
• 청소년 생태탐사 프로그램 시작 | |
• 지방의제21 전국 협의회 창립총회 | |
1999 |
• 6.3 ‘푸른경기21’확정/발표(8개분야 21개 의제) ▶ 푸른경기21실천 협의회로 개칭 ▶ 자연생태/생활환경/시민사회 분과위원회 체계로 개편 |
• 민간·환경단체 및 학교 공모사업 실시 | |
• 10.25 경기도지속가능발전협의회 지원조례 공포 | |
• 12.23 지방의제21 전국네트워크 사무국 유치 | |
1998 |
• 9.4 경기의제21 추진협의회 창립 |